지리산 둘레길 탐방 22

2025.01.04(토) 지리산둘레길 제1구간(주천~운봉)

2025.01.04(토) 맑음◎주천면 - 1.1km ◎내송마을 - 2.2km ◎솔정지 - 0.3km ◎구룡치 - 2.4km ◎회덕마을 - 1.2km ◎노치마을 - 2.2km ◎기장마을 - 2.2km  ◎행정마을 - 1.7km ◎ 양묘장 - 1.4km ◎운봉읍 총 14.7km 약5시간  2016년 12월 20일 지리산 둘레길 6구간 (수철마을~성심원)에 합류하여 걷기 시작하여 2017년 6월 13일 20구간(오미~방광) 을 끝으로 종주를 마쳤는데 이제 9년만에 다시 지리산 둘레길 제1구간부터 시작되었다. 그때는 일행들의 진행에 합류하다보니 6구간부터 시작되었는데 이번에는 통영사랑산악회에서 한 달에 한번씩 하는 정기산행을 지리산둘레길 걷기로 대체키로 했다. 그때는 주로 둘이서 걸었는데 이번에는 산악회 주관으..

2025.02.01(토) 지리산둘레길 제2구간(운봉~인월)

지리산둘레길 2구간(운봉~인월 10km)  ◎운봉-0.8km ◎서림공원 - 0.4km ◎북천마을 - 1.4km ◎신기마을 - 1.8km ◎동편제마을 - 5.4km ◎월평마을 - 0.2km ◎인월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동천리와 인월면 인월리를 잇는 10km의 지리산 둘레길. 남쪽으로는 정령치, 고리봉, 바래봉을 잇는 지리산 서북능선을 바라보고 북쪽으로는 수정봉, 여원재 그리고 고남산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을 조망하며 걷는 길이다.이 길은 옛 통영별로 길과 람천변의 제방길이 연결된 폭이 넓고 평이한 길이다. 운봉 일대의 역사문화유산을 즐기며 걷기에 좋은 구간이다. 운봉읍 : 운봉들판은 고산지대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모내기를 한다. 신라와 백제의 국경 다툼이 있던 지역으로 조선시대까지 운봉현이 있던 곳이다..

2025.03.01(토) 지리산둘레길 제3구간(인월~금계)

지리산둘레길 제3구간 인월에서 금계(20km) ▣. 달오름마을 - 2.1km 중군마을 -2.9km 수성대 - 0.8km 배너미재 - 0.9km 장항마을 - 2.6km 서진암 - 3.5km 상황마을 - 0.9km 등구재 - 2.9km 창원마을 - 3.4km 금계 - 0.7km 의중마을 - 3.7km 용유암 제3구간 인월에서 금계까지 20km. 인월 - 금계 인월- 달오름마을 ▣. 전라북도 남원시 인월면과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금계마을을 잇는 19km의 지리산둘레길인월~금계구간은 지리산 둘레길 시범구간 개통지로 남원시 산내면 상황마을과 함양군 마천면 창원마을을 잇는 옛 고갯길인 등구재를 중심으로 지리산 주능선을 조망하고, 넓게 펼쳐진 다랭이논과 6개의 지리산..

지리산둘레길 제1구간 주천에서 운봉

지리산둘레길 제1구간 주천에서 운봉 □ 일시 : 2017.05. 20(토) 산에 대한 열정은 있었습니다 대단했다고 자평할 정도로... 신들린 듯했습니다 내가 타인에 비해 못다 한 부분을 채우려 한 것은 아닙니다 타고 난 가난 때문에 책가방 끈 짧고 남들 앞에 내 세울 것 없어도 자존심 하나로 버티어 온 내 인생사입니다 나는 그래도 어릴 적에 자라면서 늘 무리에 머리쯤은 되었다고 자부했기에 세상이 좋아지면 덩달아 좋아질 줄 알았습니다 그렇든 말든 이쯤 와서 되돌아보니 인생 즐기고 살았습니다 정말 멋있게 살았다고 자부합니다 내일 마감해도 후회 없는 삶을 살았습니다 내일 산에 간다면 아무리 술에 취해도 잠이 오질 않습니다 산은 내 삶에 전부는 아닐지라도 일부인 것은 맞습니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주천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