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 유감
김봉은
내 고향은 읍내에서 십 리나 떨어져 있는 반농반어의 빈촌이다. 중학교는 읍내에서부터 오리나 더 비포장도로를 걸어서 가야 하는 곳에 있었다.
언제였던가. 마을에서 두어 살 위 형들이 마을 아래 부둣가에서 낚시하는 모습을 보고는 나도 해보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
학년이 바뀌자 가정방문 조사서에 취미가 무엇인지 적는 난이 있었다. 나는 적을 게 없어서 무심코 ‘소 풀 먹이는 거요.’ 했더니 친구들이 폭소를 터뜨렸었다. 그 부끄러웠던 생각을 떠올리니 낚시를 배워서 취미가 ‘낚시’라며 정정당당하게 적어보고 싶었다.
하루는 톱과 낫을 들고 남의 대밭에 바람처럼 숨어들어 주인 몰래 대나무 하나를 베어 집으로 와서 보니 굽어 있었다. 낚싯대용 대나무를 대충 보고 곧게 뻗은 대나무라고 벤 것인데 그대로는 사용할 수가 없었다. 대나무 곧게 펴는 방법을 동네 형들이 하는 것을 어깨너머로 본 게 있어서 그대로 해보았다. 굽은 부위를 짚불에 구워서 뒤꼍에 펴놓고 담장 돌을 가져와서 그 위에 눌러두었다. 며칠 후에 보니 희한하게도 곧게 펴져서 낚싯대를 만들 수 있었다.
낚시하기 위해 썰물 때 마을 아래 갯벌로 갔다. 오뉴월 땡볕에 비지땀을 흘리면서 갯지렁이를 오후 내내 파서 찌그러진 통에 담았다. 해 질 무렵 산에 풀어놓았던 소를 집 외양간에 매어 놓고는 바닷가로 내달렸다.
방파제에서 밀물에서 썰물로 바뀔 때까지 낚싯대를 드리웠으나 한 마리도 잡지 못했다. 깜깜하게 어두워진 둑길을 따라 집으로 오는 길에 그리 정성스레 만들었던 낚싯대를 분질러서 팽개쳐버렸다. 다시는 낚시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허공에다 냅다 소리를 지르고는 집을 향해 너털너털 걸었다. 뱃속에서 쪼르륵거리는 소리를 듣고서야 낚시생각에 들떠서 온종일 빈속이라는 것을 알았다.
몇 날 며칠을 낚싯대로 쓸 대나무를 꺾을 기회를 엿보고, 굽은 대나무를 곧게 편다고 짚불 연기에 눈물까지 흘려가면서 하루해를 보냈고, 땡볕 아래 미끼 판다고 비지땀 흘렸는데 내 강태공 입문은 그렇게 허사로 막을 내렸다.
지금 생각해 보면 후회가 된다. 서너 번 더 시도도 해보지 않고 그만두다니! 그래도 다행이다. 다른 일들은 중도하차 안 했기에 이 정도로 살아가고 있지 않은가.
낚시하면 떠오르는 분이 있다. 첫 부임지의 파출소장이셨다. 소장은 비번날이면 차석이 오토바이 뒤에 태우고 어디론가 모셔다드리고 오곤 했는데, 알고 보니 낚시터였다. 소장은 김해 출신이라 바다낚시보다 저수지나 수로에서 민물낚시를 즐긴다고 한다. 특이한 것이 차석이 오전에 소장이 원하는 장소로 모셔드렸다가 저녁 무렵 모시러 가면 처음 내려 준 곳에서 한 치의 움직임도 없이 낚싯대를 드리우고 계셨다고 한다.
훗날 직장 단체 회식 자리에서 낚시터에서 고기가 입질이 없으면 장소를 이동해야지, 왜 같은 장소에서 계속하느냐며 물었더니 돌아온 답변은 이러했다.
“낚시터는 명상하는 자리라네. 처음에는 오늘은 어떤 종류의 고기가 입질을 할까? 궁금하기도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살아온 과거를 반추하면서 잘못에 대해 반성도 하고, 닥쳐올 미래도 구상한다네. 낚시는 고기를 잡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세월을 낚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진정 강태공이었다.
소장은 평생 남에게 손가락질 받을 언행은 하지 않고 살았다. 이태 전 갑작스러운 부고를 전해 들었다. 장례식장에서 만난 가족에게, 달포 전에 목욕탕에서 만났을 때는 건강하셨는데 어찌 이런 일이 있느냐며 물어보았다. 갑자기 급성 췌장암 판정을 받고는 수술비와 항암치료 등을 걱정하면서 남은 가족들에게 폐를 끼치고 싶지 않다고 하였다는 것이다.
‘이제 살 만큼 살았다.’라며 그만 수저를 놓고는 열흘 만에 돌아가셨다고 한다. 평생 사치라고 모르며 직장에 충실하던 그분의 털털한 웃음소리가 귓가에 들리는 것만 같다. 낚시 생각하니 좋은 추억보다는 유감이 많다.
아직 늦지 않았을까? 이제 나도 내 인생을 반추해 보며 세월을 낚기에 늦지 않았을까?
요즘은 돈만 있으면 낚시점에서 입맛에 맞는 낚싯대를 고를 수가 있고, 미끼도 다양하게 갖추어져 있다. 이제 칠순을 바라보는 이 시점에서 어릴 적 못다 이룬 꿈을 펼쳐볼까. 언제 한번 아들 녀석과 바다 낚시하러 가봐야겠다. 내 살아온 삶의 발자취도 들려주며 인생 선배로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도 나누면서 부자간의 정을 쌓아봐야지. 낚시는 고기를 낚는 게 아니라 삶의 발자취를 뒤돌아보면서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세월을 낚는 것이라는 소장의 말씀을 들러줘야겠다.
'글쓰기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 40주년을 구례 화엄사에서 (3) | 2024.11.24 |
---|---|
계묘년(癸卯年) 마지막 산행을 지리산 천왕봉에서 (3) | 2024.11.24 |
내가 모시고 있었다 (8) | 2024.11.24 |
대매물도 트레킹을 하면서 (6) | 2024.11.24 |
매바위 가는 길에 만난 각시붓꽃 (0)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