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방

2024.03.18(월)

버팀목2 2024. 3. 18. 06:26

2024.03.18(월) 흐림

 

 

☆ 매화가 피어 천하가 봄이로다

매화 피어 천하에 봄이 오면
우리네 사람들은 탐매 봄나들이를 떠나게 됩니다
매화의 매의 글자는 목 + 인 + 모 의 세 글자가
결합된 회의자로서
나무 중에서 어머니와 같은 나무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인지는 모르겠으나
아마도 나무 중에서 매화처럼 인간에게
많은 이로움을 주고 또 인간으로부터
사랑을 뜸북 받는 나무도 흔하지 않을 것입니다

매화는
새해가 되면 나무로서는 가장 먼저 꽃망울을
터트려 봄 소식을 전해주고 눈 속에서 꽃을 피워도
마치 온화한 날씨인양 그윽하고 은은한 향기를 발산합니다
차가운 밤 얼음이 얼어도 꽃 모양은
싱싱하고 색상은 선명합니다

매화는 욕기가 없어
고상하고 추울 때일 수록 더욱 아름다우며
격조가 높기가 남다릅니다
찬바람 눈보라에 시달리면서도 한 번 먹은
곧은 마음을 고치지 않기 때문에
불의와 타협하지 않은 선비 정신을
품은 듯이라 하여
매화를 4군자 중의 으뜸으로 여기며

창가에 심어놓고 바라보며 마치 벗을 대하듯
좋아하고 시문을 지어 찬양하고 그림으로
아름답게 그려내며 지조와 절개의 상징으로
여겨 나왔습니다

매화에는 세 가지 덕이 있는데
엄동설한을 이겨낸 인고의 덕이 제1 덕이요
이른 봄 가장 먼저 꽃망을 터트려
봄소식을 알려주는 덕이 제2 덕이요
우리 몸에 이로운 열매를 맺고 인류건강에
기여함이 제3 덕이라 하여
이를 매화 3 덕이라 합니다

이와 같은 매화에 대하여
선인들의 매화 사랑은 유별나고 지극하여
생육신 김 시습은 그의 호를 매월당이라 하였고
부안 출신 여류 문인이자 기생인 이 계생은
그의 호를 매창이라고 하는 등
많은 사람들이 매의 글자까지도 소중하게 여기며
즐겨 사용하였다

조선 최고의 성리학자 퇴계 이황은
정인 두향으로부터 선물 받았던
분매를 늘 곁에 두고 바라보는 것을 낙으로 삼았으며
술을 마실 때는 매화에게도 * 어이 자네도 한 잔
하시게 * 하며 술을 따라 권하며 마치 두향을 대하듯 지내다
그의 생을 마감하는 날 * 저 매형에 물 주거라 *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임종하였고

일평생 118수의 매화시를 남겼습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지폐 중에서

천 원권과 오만 원권에 매화가 그려져 있어

우리는 늘 매화가 그려져 있는 돈을 지닌 채

생활해야만 합니다

 

때문에 

우리와 매화는 분리될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좋은 글* 중에서

 

 

 

 

운동하고 천성기 불러 청도소갈비 식당에서 돼지갈비 기본 준비 해서 밥 먹고 헤어졌다